자동 디레버리징(ADL)은 극단적인 시장 상황이나 불가항력적인 상황으로 인해 위험 준비금이 부족하거나 급격하게 고갈되는 경우, 전체 플랫폼 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상대방 포지션을 강제로 청산하는 메커니즘입니다. 현재 '위험준비금 부족'과 '급격한 고갈'을 정의하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ADL 트리거 조건:
-
거래 쌍의 위험 준비금이 완전히 소진된 경우
-
거래 쌍의 위험 준비금이 최대값에서 30% 이상 급격히 감소한 경우
ADL 정지 조건:
위험 준비금이 최고치의 90% 이상으로 복구될 때
동시에 플랫폼은 시장 동향에 따라 조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ADL이 실행되면 플랫폼은 더 이상 사용자의 청산 포지션에 맞춰 시장에서 주문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상위 순위의 상대방 계정을 직접 식별하여 수수료 없이 인수 비용 가격으로 직접 거래를 수행합니다. 거래가 완료된 후 상대방 계정의 관련 선물 포지션은 청산되며, 해당 포지션의 수익은 계정 잔고로 정산됩니다.
플랫폼은 자동 디레버리징을 사용하여 파산 손실을 처리한 후에는 더 이상 손실 분담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ADL 순위
ADL 상대방 순위는 계정 위험도 또는 포지션 위험과 선물 포지션의 수익률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구체적인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렬 규칙: 거래 상대방은 레버리지 수익률에 따라 높은 순서에서 낮은 순서로 정렬됩니다. 수익 중인 포지션이
손실 중인 포지션보다 우선시됩니다.
레버리지 수익 계산:
-
거래 쌍의 수익이 음수이거나 해당 포지션이 청산/ADL가 실행 중인 경우:
-
레버리지 수익은 0으로 설정됩니다
-
-
교차 마진 모드:
-
레버리지 수익 = 포지션 수익률 × 레버리지
-
포지션 수익율 = 미실현 손익 ÷ 진입가 기준 포지션 가치
-
진입가 기준 포지션 가치 = 포지션 크기 × 평균 진입 가격
-
자본 레버리지 = 현재 포지션 가치 ÷ (전체 계정 잔액 + 교차 마진에서의 미실현 손익)
-
-
격리 마진 모드:
-
레버리지 수익 = 포지션 수익률 × 레버리지
-
포지션 수익률 = 미실현 손익 ÷ 진입가 기준 포지션 가치
-
진입가 기준 포지션 가치 = 포지션 크기 × 평균 진입 가격
-
자본 레버리지 = 포지션 가치 ÷ (마진 + 미실현 손익)
-
순위의 영향:
더 높은 수익과 더 높은 자본 레버리지를 가진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ADL 상대방으로 선택될 가능성이 높으며,
ADL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위험 표시등:
사용자는 플랫폼에서 신호 표시등을 통해 ADL 위험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지표는 5가지
수준으로 구성됩니다.
-
5개 켜짐: 해당 포지션은 상대방 중 높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ADL 실행 위험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
1개 켜짐: 해당 포지션은 상대방 중 낮은 순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ADL 실행 위험이 낮음을 나타냅니다.
알림 및 세부 사항:
ADL 대상이 되면, 사용자는 축소된 포지션과 ADL 실행 가격에 대한 세부 정보를 포함한 알림을 받게 됩니다.
또한 사용자는 주문 센터를 방문하여 "ADL"로 자동 청산된 주문의 세부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0개
이 문서에는 댓글을 달 수 없습니다.